카테고리 없음

웹 호환성(크로스브라우징)

그나쓰 2022. 12. 4. 21:39

내가 필요해서 타이핑하는 글 2

ㅇ 웹 호환성 (크로스브라우징) 정의

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,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

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

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

+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.

ㅇ웹 호환성 준수 이유

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고 특정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종속되어 있다면

다양한 운영체제 환경 및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.

국내는 IE 웹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비표준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. (지금은 x)

개방형 통합 플랫폼인 ActiveX가 그 대표적인 예로,

ActiveX는 웹사이트에서 정적인 웹문서를 멀티미디어 기술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기술이나

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IE에서만 사용되는 기술로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하여

외국에서 국내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표준화되지 않은 웹사이트로 인해

웹 호환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
따라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든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일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

웹 호환성을 준수한 웹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.

ㅇ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접근성의 이해

웹 표준 --- 웹 접근성 --- 웹 호환성

└ 누구나, 어떤 환경에서나 ┘

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의 목적은

① 웹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점

② 장애인,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 확대

③ 다양한 환경과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

④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제고

등의 기대효과가 유사하지만 대상 및 종류 등의 준수 내용과 편의를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

웹 표준을 준수하는 것만으로는 웹 접근성이나 웹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으며

웹 호환성을 준수하더라도 웹 접근성은 보장되지 않는다.

웹 접근성이란 보편적 접근성 확보를 우선시하고,

웹 호환성은 OS, SW에 독립적인 상호운용성 확보를 우선시한다.

→ 그 말은 세가지 모두 다 지키기가 조오올라 어렵다는 것 ?!

목적
준수 내용
차이
웹 표준
웹의 사용성 및
접근성 보장
HTML, CSS 등에 대한 W3C규격(문법) 준수 등
- HTML, CSS, JavaScript 등 구조와 표현, 동작 분리 권고
웹의 내용, 표현, 행동에
관련된 기술 표준
웹 호환성
웹 브라우저 버전과 종류에
관계없는 웹사이트 접근
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
- HTMㅣ, CSS 문법 준수
- 동작, 레이아웃, 플러그인 호환성
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
웹 접근성
인적, 환경적 요인에
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
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(WAI)
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0
- 인식의 용이성, 운용의 용이성, 이해의 용이성, 견고성

원글

http://www.smartebiz.kr/new/subpage02_02.html

세가지를 동시에 잘 지켜진 바람직한 사이트를 예시로 좀 보고싶다.